경기도민 51.9%, “코로나19 위험 통제할 수 있다”
○ 위험 통제력 판단 고려 1순위 국민의 방역실천 정책 협조(34.9%)> 오미크론(31.6%)> 방역정책(13.7%) 순
○ 마스크 쓰기, 백신접종 등 방역 일상 지속에 55.6% ‘자신 있다’
○ 우울군 비율 29.2→28.2→25.1%로 감소...여전히 10명 중 2명 이상 우울군
○ 실업·폐업·취업실패 경험자, 1인 가구 정신건강 지표에서 취약성 보여
서정혜 2022-02-17 06:3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민 과반은 우리 사회가 코로나19 위험을 통제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d1b80e33fd55c2a4fc67cb744e66776d_1645047134_7777.JPG 

경기도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연구팀은 지난 118일부터 26일까지 경기도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도 코로나19 심리방역을 위한 인식조사결과를 17일 공개했다. 해당 조사는 20205, 20207, 202010월에 이어 네 번째다.

우선 코로나19 위험을 우리 사회가 통제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51.9%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부정적 인식은 48.1%. 이 같은 긍정 대답은 2020 759%보다 낮아졌지만 20201048.3%보다는 높아진 수치다.

이런 통제 가능성을 판단할 때 고려 조건으로는 국민 개개인의 방역수칙 준수·정책 협조 수준’ 34.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등장 등 감염조건’ 31.6%, 정부 당국의 코로나19 정책 추진 수준 13.7% 등의 순이었다.

한국 사회와 경기도는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가에 대해 응답자는 5점 만점에 평균 2.91점을 매겼다. 이는 4차례 조사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다. 20205월에는 2.87, 7월에는 2.72, 10월에는 2.59점이 각각 나왔다.

도민들은 방역 일상(마스크 쓰기 의무화, 백신접종, 거리두기 등)을 지속하는 것에 대해 55.6%자신 있다고 답했다. ‘보통35.7%, ‘자신 없다8.7%.

코로나19 장기화 사태로 인한 도민의 일상 회복 수준을 100점 만점으로 봤을 47.2점으로, 이전 3차례(153.9, 251.8, 348.2) 조사보다 낮게 나왔다. 그룹별 점수가 가장 낮은 건 연령대에서는 3043.1, 소득 수준에서는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 원 미만 44.7점이었다.

코로나19가 삶의 질 영향을 미친 부분에서는 응답자의 56.2%부정적이라고 했는데, 20207(66.5%)10(73.7%)보다는 낮은 수치다. 코로19로 겪은 부정적 경험은 경제적 위기’ 26.2%, ‘실직·폐업 및 취업실패’ 16.8%, ‘가까운 인간관계 문제’ 15.4% 등의 순으로 많았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경기도민의 정신건강 상태를 보면 전문적 도움이 필요한 심한 울분상태는 13.1%20201018.7%보다 낮아졌으며, 자가우울척도 기준 10점 이상(우울군)의 비율도 25.1%20201028.2%보다 다소 낮아졌다. 우울, 울분, 외로움 지표 전반에서 취약한 그룹은 실업·폐업 및 취업 실패 경험자 및 1인 가구 응답자들이었다.

도민이 스스로 생각하는 건강 상태는 좋다32.8%, 지속적으로 하락(2020548%2020748.8%20201042.2%)했다. 주관적 건강 점수는 고졸 이하의 저학력자와 월평균 가구소득 300만 원 미만의 저소득층에서 특히 낮았다고 도는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걷기나 신체활동의 경우 줄었다는 응답이 37.9%늘었다’ 17.7%보다 많았고, 여성5점 만점에 평균 2.58점으로 남성 2.84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