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반사 성능 부적합 도로 차선 800㎞ 발견. 보수공사 진행
-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차량부착형 첨단 측정장비 도입‧운영
○ 도,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도입한 ‘차량부착형 차선반사성능 측정장비’ 활용
- 지난해 시범 운영에 이어 올해 첫 일괄 측정 개시. 약 2,200㎞ 점검에서 부적합 약 800㎞ 발견. 보수공사 조치
서정혜 2021-08-16 08:2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가 올 상반기 도내 지방도와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를 대상으로 도로 차선의 반사 성능을 점검한 결과, 부적합 차선 약 800(부적합률 36%)를 발견해 보수공사하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522839144e9ffa5123d41356ae139fd9_1629069768_0931.jpg
1.+차량부착형+반사성능+측정장비(건설본부)

경기도건설본부는 올해 3월부터 7월까지 지방도 322호선 등 도내 지방도와 국지도의 노선별 시점부터 종점까지 약 2,200에 대한 도로 차선 반사 성능을 측정했다. 도내 지방도국지도 총연장은 약 1,900이지만 왕복 차선 등을 고려한 조사 대상은 약 7,300에 달한다.

522839144e9ffa5123d41356ae139fd9_1629069827_1212.jpg

2.+이동식(포터블)+반사성능+측정장비(건설본부)

야간이나 우천 시 차선의 반사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으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신규 설치한 백색 차선은 240 mcd/(m2lx) 등 최소 재귀반사성능(휘도) 충족을 위한 주기적 관리가 필요하다.

도는 성능 점검을 통해 최소 재귀반사성능을 기록하지 못한 부적합 차선 약 800를 발견하고, 이 중 지방도 349호선 등 34(124, 16%)의 보수공사를 완료했다. 나머지 차선 도색 작업도 올 하반기에 조속히 완료할 계획이다. 올 상반기 성능 점검을 마치지 못한 약 5,100도 노선별 일괄 측정해 조속히 완료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선 일괄 측정은 올해가 처음으로, 지난해 4월 전국 지방정부 최초로 첨단 디지털장비인 차량부착형 차선반사성능측정장비를 도입했기에 가능했다. 기존 국토교통부 등 중앙정부에서만 활용하던 차량부착형 측정장비는 측정 차량이 차선을 지나가기만 하면 반사 성능을 자동으로 점검한다. 대부분 지방정부는 이동식(포터블) 차선반사성능측정장비를 사용하는데, 이는 사람이 직접 장비를 들고 다니면서 측정하는 구조라 수천에 달하는 도내 도로 일괄 측정은 불가능했다.

한건우 경기도건설본부 도로건설과장은 첨단디지털 장비로 빠르고 객관적으로 측정자료를 수집해 한정된 재포장재도색 예산 속에서 효율적인 공사 구간 선정이 가능해졌다궁극적으로는 비가 내리는 밤에도 차선이 잘 보이도록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고, 위험 요소를 선제적으로 제거 및 관리해 도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차량부착형 차선반사성능측정장비를 도입하고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교통량이 많은 도로 약 2,000를 선정해 반사 성능을 시범 측정한 바 있다. 당시 부적합률은 28%(560), 특정 도로 구간만 점검했기에 올해보다 부적합률이 낮게 나왔다. 해당 구간 재도색 등 보수공사는 완료됐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