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ICT 접목한 스마트 축산환경 조성 나서‥올해 250억 원 투입
○ 경기도, 2021 축산 ICT 융복합 확산사업 추진
- 스마트축산 실현 위한 ITC 융복합 사업에 총 250억 원 투입
○ 사업대상 농가에 ICT 기술이 접목된 자동화장비 설치 지원
- 지원장비 : 환경관리기, 사양관리기(사료급이기 등), 경영관리 프로그램 등
오예자 2021-04-14 07:29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경기도는 변화하는 축산환경에 걸맞은 축산업 생산성 향상 및 노동력 절감을 위해 ‘2021 축산 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 도내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총 25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한다고 14일 밝혔다.a23531317cdfe496d4ae17c70d281c81_1618352885_5491.jpg
돈사환경관리기_포천시 한탄강스마트팜

축산 ICT 융복합 확산사업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축사 및 축산시설에 접목해 비교적 적은 인력과 비용으로도 축사환경과 가축을 관리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장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a23531317cdfe496d4ae17c70d281c81_1618352916_3194.jpg
자동냉난방시설_포천시 한탄강스마트팜

지원 대상은 한·육우, 양돈, 양계, 낙농, 오리, 사슴, 곤충, 양봉 분야 도내 축산농가다.

올해는 120개 내외 농가를 대상으로 ICT 기술이 접목된 자동화 설비를 설치해 언제, 어디서나 가축의 생육환경을 점검하고 유지관리함으로써 생산비 절감 및 품질제고 달성이 가능해지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a23531317cdfe496d4ae17c70d281c81_1618352947_3115.jpg
자동온도제어시스템_포천시 한탄강스마트팜

주요 지원 장비는 축사 내외부 환경 관리 장비(온도, 습도, 정전 등), 원격제어가 가능한 사양관리기(사료빈 관리기, 출하선별기, 원유냉각기 등), CCTV, 경영관리 프로그램(생산관리, 출하관리 등) 등이다. 사업 지원 비율은 보조 50%, 융자 30%, 자담 20% 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예비신청을 통해 약 500개 농가를 대상으로 사전 컨설팅을 진행했으며, 컨설팅 완료 농가 중 평가를 통해 최종 지원 대상을 선정해 본격적인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깨끗한 축산농장, 동물복지농장, 무항생제(유기) 축산물 인증, 후계농업경영인 지정 농가의 경우 선정 시 가점을 부여받을 수 있다.

도는 스마트 축산시설 보급으로 자동화 및 전산화를 구현해 체계적인 사양관리를 추진, 생산비 절감 및 인력부족 해소 등을 도모함은 물론 축산 경쟁력을 향상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영수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이 사업은 첨단 신기술을 활용한 최적의 사양관리로 노동력 절감과 농가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농가 호응도가 높은 만큼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스마트축산기반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