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상생임금위원회는 대기업이윤사수위원회 ‘상생’으로 포장한 임금 하향평준화 하자는 것 서정혜 2023-02-02 19:14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한국노총이 ‘상생임금위원회’를 “노동시장 임금격차 해소를 빌미로 노-노 갈등을 유발하고, 상생으로 포장한 대기업이윤사수위원회일 뿐”이라고 강력 규탄했다. 고용노동부는 2일 상생임금위원회를 발족하고, “중소기업·비정규직 임금은 대기업·정규직 임금의 45% 수준”이라며, 주된 원인으로 대기업과 정규직 노조의 하청·비정규직에 대한 상생 인식과 성과 공유 부족을 들었다. 이에 대해 한국노총은 성명을 내고,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대·중소기업간 원하청 불공정거래, 재벌·대기업 사익편취, 무분별한 비정규직 양산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구조적 문제에 있다”며 “대기업 정규직노조의 이기심과 임금체계 유무 때문이라기보다 대기업의 성과 공유 부족이 원인이라는 표현이 더 적확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부품단가를 올려주고 정부는 기술혁신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여주는 노력을 통해 중소기업 영업잉여를 늘려야 중소기업 노동자들의 임금과 처우가 향상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 근거로 한국노총은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대기업의 영업잉여는 29%에 달하고, 인건비 비중은 40%를 약간 상회한다”면서 “반면 중소기업 영업잉여는 10% 정도에 불과하고, 인건비 비중은 70%를 상회한다”고 설명했다. △ 상생임금위원회 발족식(출처=고용노동부) 한국노총은 “노동부의 주장처럼 대기업 인건비 비중을 줄여 중소기업 노동자의 임금을 높이자는 것은 결국 대기업의 이윤은 그대로 둔 채 임금 하향 평준화를 하자는 말”이라며 “중소기업을 착취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 대기업 노동자 탓만 하는 대통령과 노동부의 저의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위원회 구성도 문제”라며 “학계와 현장전문가라고 했지만 매번 돌려막기 용역 교수들 일색이고, 현장전문가라 할만한 대표성도 없는 구성”이라고 덧붙였다. 상생위원회 전문가 위원은 총 13명으로 이 중 9명이 교수이고, 고용노동부 장관과 공동위원장을 맡은 이재열 위원장 역시 교수(서울대 사회학과)이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경기도 미래노동연구회 회장 김선영 의원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23.02.03 다음글 한국노총, “노정 대립 시기, 비상한 각오로 돌파 해야” 2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