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윤정 의원, “도제학교 취업률 저조...제도 취지 살릴 실질적 개선 필요” ○ 기업-교육과정 미스매칭·진학 쏠림 등 원인...“취업 연계 기능 사실상 작동 안 해” ○ “도제학교가 대입 준비 수단으로 변질되어선 안 돼”...운영방식 재점검 촉구 김완규 2025-11-17 12:3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장윤정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3)은 지난 14일 진행된 2025년도 안양과천·광명·군포의왕 교육지원청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제학교의 취업률이 지나치게 낮다”며 전면적인 제도 점검을 촉구했다.251117 장윤정 의원. “도제학교 취업률 저조...제도 취지 살릴 실질적 개선 필요”(1) 도제학교는 학생이 학교와 기업을 오가며 현장 실무를 배우고, 졸업 후 해당 기업 취업으로 연계하는 직업교육 모델이지만, 2025년 실제 취업률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교육지원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 광명교육지원청은 도제학교 참여 학생 19명 중 3명 취업, ▲ 군포의왕교육지원청은 31명 중 6명 취업, ▲ 안양과천교육지원청은 33명 중 17명만 취업한 것으로 집계됐다. 장윤정 의원은 “도제학교는 학생이 현장 경험을 통해 역량을 쌓고, 기업은 필요한 인재를 길러 취업으로 연계하는 제도인데, 취업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제도가 엉뚱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육장들은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상과 학교 교육과정이 충분히 맞물리지 않는 점, 일부 학생들이 현장 실무 경험보다 대학 진학을 우선 선택하는 경향 등을 들며 제도 운영의 한계를 설명했다. 그러나 장윤정 의원은 “도제학교 참여 학생이 현장에서 지원금까지 받으며 경험을 쌓고도 결국 대학 진학으로 이어지는 구조는 제도 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도제학교가 사실상 대입 준비 코스처럼 사용되는 것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완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김선희 의원, “학생 건강을 위해서 깨끗한 식수 공급이 필수다” 25.11.17 다음글 천시, 청소년생활문화센터 가상현실(VR) 체험단 1기 활동 성공적으로 마쳐 25.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