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올해 용인평온의 숲, 축구센터, 양지면, 경로당 등 태양광(열) 설치 서정혜 2014-03-13 00:00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 전국 지자체 최초 전기발전사업 허가, 시민행복발전소 운영 - 소외계층에 대한 따뜻한 에너지 나눔 실현 - 하수처리장 신재생에너지 실증단지 운영, 에너지자립형 하수시설 구현 ▲ 지자체청사_전국최대규모_태양광발전(행정타운)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로 녹색도시 비전을 달성한다’ 용인시는 수도권 남부의 중심에 위치한 인구 100만을 내다보는 거대 광역시로, 교통의 요충지이자 첨단산업의 도시이며 백옥쌀 등 다양한 우수 농․축산물이 생산되고, 문화와 전통, 천혜의 관광휴양 자원을 갖춘 도․농 복합도시이다. 자연친화 건강도시를 시정목표로 ‘신재생에너지 그린시티용인, 친환경 행복도시’로 발돋움 하고자 전국 최초의 용인시민행복발전소 건립, 에너지 자립도 향상을 위한 공공시설물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사회복지시설 등 에너지 소외 계층을 위한 따뜻한 에너지 나눔 정책, 신재생에너지 신기술 보급을 위한 하수처리장 기술개발 실증단지 운영 등 지역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 신재생에너지보급(그린빌리지_일산리현장전경) ■ ‘용인평온의 숲’ 태양광발전 설치 등 2014년 신재생에너지사업 스타트 - 연 1,224Mw 생산, CO2 607톤 절감, 76,409그루 나무 심는 효과 - 시민행복발전소 2호기, 마북동·기흥동주민센터, 흥덕도서관 설치 추진 올해 신재생에너지사업은 총 8개로, 45억9천여만원의 사업비로 ‘용인평온의 숲’(200kw), 경로당(21kw)에 태양광발전, 용인시축구센터(117.3㎡), 양지면주민자치센터(280.5㎡) 등에 태양열 설비를 설치하고 용인행복발전소 2호기(470kw), 마북동·기흥동주민센터 지열설치(각 223kw, 334kw), 흥덕도서관 태양광 설치(29.6kw), 주택지원(그린빌리지)사업 등을 추진하게 된다. ▲ 신재생에너지보급(용인시민행복발전소1기_(용인정수장) 이를 바탕으로 연 1,224Mw 생산, CO2 607톤 절감, 76,409그루 나무 심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올 5∼8월에 처인구 이동면 소재 시립종합장묘시설 ‘용인평온의 숲’ 태양광발전 설치공사를 완료한다. ‘용인평온의 숲’내 나래원(화장장)∼평온마루(봉안당) 인도 구간에 200Kw급(일반가구 67가구 사용량) 태양광발전이 들어서며, 일반캐노피를 태양광캐노피로 전환, 일반캐노피 설치비용 4억원과 연간 전기요금 3천6백만원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 태양광발전_설치_용인정수장_침전지 오는 7월 용인시축구센터와 양지면주민센터에도 117.3㎡(집열기 46모듈), 280.5㎡(집열기 110모듈) 규모의 태양열설비가 각각 들어설 예정이며, 축구센터는 태양열 이용과 온수 사용으로 LPG 연료비가 연간 약 1천5백만원, 양지면주민센터는 도시가스 연료비가 약 1천8백만원이 각각 절감될 것으로 전망된다. ▲ 마을회관_태양광발전 7월 경로당 7곳(처인구 원삼면, 백암면, 모현면/ 기흥구 보라동, 고매동/수지구 풍덕천동, 동천동)에 태양광 21KW(시설별 3KW)가 설치되어 연간 전기요금이 30∼50% 절감, 폭염 및 한파시 충분한 냉난방기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그린홈(그린빌리지)보급사업에 적극 동참해 2010년 2개 마을 70가구에 태양광설비 210kw를 보급한 바 있으며, 2011년 1개 마을 44가구에 태양광설비 132kw, 2013년 2개 마을 326가구에 태양광설비 147kw를 설치, 주민친화적인 친환경 에너지를 보급하는데 기여했다. 올해에는 4∼8월에 주택지원사업이 확정되면 공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특히 2013년에는 전국에서도 드문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선정되어 주민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은바 있다. ▲ 경로당옥상_태양광발전 또한 2013년 상수원관리지역 특별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된 용인시민행복발전소 2호기는 처인구 삼가동 용인배수지에 설치될 예정으로 한강수계관리기금 17억원 포함, 21억원이 투입되어 약470㎾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연내 건설할 예정으로, 1,2호기에서 향후 연간 약 100만㎾의 전력을 전력거래소 및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발전사업자에 판매해 연 4억원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서 얻어진 수익금은 용인시민에게 다시 되돌려주어, 주민복지를 증진하고 지속가능한 녹색정책으로 환경위기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 에너지자립도 향상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선도 - 2013년 신재생에너지 총 7개소 설치 - 연 842Mw생산, CO2 370톤 절감, 46,540그루 나무 심는 효과 ▲ 수지구_태양광 작년 신재생에너지 설치사업은 총 20억여원으로 수지문화복지타운(60kw), 원삼면사무소(25kw), 사회복지시설 5개소(15kw), 상현2동주민센터(36kw) 등에 태양광 설치를 비롯해 신갈동·기흥구보건소(406kw)와 역삼동주민센터 지열 설치(376kw), 그린홈(그린빌리지) 사업(147kw) 등 총 7개소가 해당되며,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한 공공청사 에너지 자립도 향상 및 전력위기에 적극 대응해 왔다. 에너지자립도 향상을 위해 2008년부터 시작된 신․재생에너지 보급 프로젝트는 신봉동, 구갈동, 상하동 주민센터에 각각 12.6kw, 15kw, 21kw 규모의 태양광발전 시설을 비롯해 2009년에는 성복동 주민센터와 동백도서관에 각각 11kw, 19.8kw 규모의 태양광발전 시설, 2010년 기흥도서관에 15.8kw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해 5천4백여만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또한 2011년에는 문화복지행정타운 복지센터에 태양열설비 337㎡와 죽전2동 주민센터에 지열 144kw를 비롯해 2012년에는 수지구 청사에 각각 54.56㎡, 56kw 규모의 태양열 및 태양광시설과 498.57kw 규모의 지열을 완료했다. 문화복지행정타운, 모현도서관, 용인평온의의 숲에는 각각 285kw, 13kw, 109k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마련하고 보라도서관에는 지열 274.8kw를 설치, 1억1천3백여만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한편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전기발전사업 허가를 받아 2012년에 준공된 용인시민행복발전소 사업은 지난해 5월 발전사업허가를 받고 12월에 공사 준공, 2013년 1월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해 전력판매를 하고 있다. 용인시민행복발전소 1호기는 별도의 부지없이 용인정수장(처인구 모현면 매산리 소재) 침전지 상부에 385㎾의 규모로 되어 있으며 이는 약 3kw를 사용하는 일반가구 약 150가구가 사용 가능한 전력이며, 연간 200톤의 탄소절감으로 20년생 잣나무 45,000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가 있다. ■ 미래 신․재생에너지 성장산업 기반 마련 2012년 3월 8일 용인시와 코오롱글로벌㈜는 환경부 ‘Global Top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율 향상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을 공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협약을 체결했으며, 2013년 5월 26일 하수처리장 실증단지(Test-bed)를 완공했다. 실증단지는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최적 통합실증을 통한 에너지 자립형 하수처리장 구현 및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세워진 것으로, 실증단지에는 하수열회수(25RT), 복합태양광발전(100kw), 저낙차용 소수력발전 (10kw), 스마트 운영관리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 소외계층에 대한 따뜻한 에너지 나눔 실현 2010년 지방보급사업으로 장애인 복지시설 생수사랑회에 태양광발전설비 5kw, 재단법인 천주교 인보성체 수도회 유지재단 기숙사 건물에 태양열 설비 48.9㎡, 사회복지시설인 양지바른복지관 지열설비 96kw, 주북2리 마을회관 외 2개소에 총 9kw급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했으며, 2011년 호1통 마을회관 외 36개소에 총 155kw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완료했다. 또한 2012년 유림2통 마을회관 외 5개소에 총 18kw급 태양광 발전설비, 2013년에는 사회복지시설에너지자립기반 시범조성사업으로 수지구 신봉2통 경로당 외 4개소에 총 15kw급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 사회복지 시설과 노인들의 유일한 쉼터인 마을회관(경로당)에 전기요금을 절감시켜 따뜻한 에너지 복지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서정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덕성산업단지 조성사업 현장설명회 관심 집중 14.03.13 다음글 용인시, 엽채류 노동력절감 기술 시범사업 추진 1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