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미등록 외국인 아동, 의료 사각지대에 방치, 필수예방접종률 26%에 불과”
- 김남희 의원, 출생 미등록 외국인 아동의 생존권·의료접근권 보장 촉구
김완규 2025-10-15 17:3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부모의 체류자격이 없다는 이유로 출생등록조차 되지 않은 미등록 외국인 아동들이 여전히 법과 제도의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 이들은 주민등록이 없어 건강검진·예방접종·보험가입 등 기본적인 공적서비스 조차 이용하지 못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da50eb1529c2e1b5d12b002de9dc7d29_1760517295_1723.jpg

프로필사진

법무부가 지난해 실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출생 미등록 외국인 아동 5,183명 중 53명이 사망, 22명이 유기되었으며 131명이 행방불명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상당수는 병사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사망 원인에 대한 조사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 임시신생아번호 외국인 아동 소재 확인 실태조사 및 수사 결과

 

임시신생아번호로 등록된 외국인 아동수

사망아동

베이비박스 유기

행방불명 (131)

입양 위탁기록 등 미확인

부모

연락두절

5,183

53

22

77

54

출처: 보건복지부, 법무부, 경찰청 자료 재구성
’15~’23년 국내 출생하여 질병관리청예방접종관리시스템에 보호자가 외국인으로 입력된 신생아 5,183명에 대해 전국 출입국외국인관서에서 전수 조사

2023년 미등록 영아 사망사건을 계기로 출생통보제가 도입됐지만, 외국인 아동은 여전히 제도 적용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출생등록이 되지 않으면 건강검진·필수예방접종·보험가입은 물론, 휴대전화 개통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경기 광명을)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출생 미등록 외국인 아동의 결핵(BCG) 예방접종률은 26.2%에 불과했다. 같은 연령대 내국인 아동의 접종률(96.7%)과 비교하면 약 70% 이상 낮은 심각한 의료 사각지대가 드러난 셈이다.

[] 영유아필수예방접종 현황(단위: , %)

구분

아동수

결핵(BCG)

B형간염(HepB)

접종자수

접종률

접종자수

접종률

미등록 외국인 아동 실태조사

(15~24)

정상양육 확인 아동

2,249

1,805

80.3%

2,226

99.0%

고유식별번호 전환이 확인되지 않은 아동

293

94

32.1%

283

96.6%

2024

미등록

외국인 아동

(출생 후 임시신생아번호 발급 및 미전환자)

397

104

26.2%

374

94.2%

등록 외국인 아동

6,773

6,104

90.1%

6,303

93.1%

전체 1세 아동

255,834

247,304

96.7%

248,576

97.2%

* ’15’23년 외국인 임시신생아번호 실태조사 아동 예방접종 현황

출처: 질병관리청

법무부가 지난해 미등록 외국인 아동 실태조사 결과를 복지부에 통보했지만, 이후 범정부 회의는 단 한 번도 열리지 않았고 제도 개선도 이뤄지지 않았다.

김 의원은출생등록은 국적이나 체류자격을 묻기 위한 제도가 아니라 아이의 생명을 국가가 확인하고 보호하기 위한 제도여야 한다, “부모의 체류자격과 관계없이 출생등록이 가능하도록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한국노동교육신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44,102/2103 | 제보광고문의 031-335-1289 | E-mail: jhseo0625@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13.07 .15 | 등록번호 경기 아50716호 | 발행인 오예자 | 편집인: 김완규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예자
Copyright© 2004~2025 한국노동교육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